홍로점설(紅爐點雪)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홍로점설(紅爐點雪)은 달궈진 화로에 눈이 떨어지면 바로 녹아버리는 것처럼, 강한 진리에 의해 무지가 순식간에 사라지거나, 어떤 일이 순식간에 해결되는 상황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홍로점설(紅爐點雪)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홍로점설 뜻紅(붉을 홍): 붉다, 달아오르다爐(화로 로): 화로, 불을 피우는 기구點(점칠 점): 떨어뜨리다, 닿다雪(눈 설): 눈, 무지함의 비유'홍로점설(紅爐點雪)'은 붉게 달궈진 화로 위에 눈이 떨어지자마자 녹아버리는 현상을 뜻하며, 강렬한 이치나 진리에 의해 어리석음이나 망상이 즉시 사라지는 모습, 혹은 어려운 문제가 한순간에 풀리는 상태를 비유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홍로점설(紅爐點雪)은 불교 선종어록(禪宗語錄)과 송대(宋代)의 선..
혼정신성(昏定晨省)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혼정신성(昏定晨省)은 자식이 저녁에는 부모님의 잠자리를 살피고, 아침에는 안부를 살핀다는 뜻으로, 부모님을 정성껏 모시는 효행의 자세를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혼정신성(昏定晨省)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혼정신성 뜻昏(저녁 혼): 해 질 녘, 밤定(편안할 정): 편안히 하다, 잠자리 돌보다晨(새벽 신): 아침, 이른 시간省(살필 성): 살피다, 방문하다'혼정신성(昏定晨省)'은 저녁에는 부모님의 잠자리를 살피고, 아침에는 문안을 드려 안부를 묻는다는 뜻으로, 효도를 다하는 자식의 모습을 상징합니다.혼정신성은 물리적인 보살핌뿐 아니라, 마음과 태도에서 우러나는 세심한 관심과 정성을 의미합니다. 유래혼정신성(昏定晨省)은 예기(禮記) 곡례 편(曲禮篇)에서 유래한 표현..
호연지기(浩然之氣)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호연지기(浩然之氣)는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크고 정직한 기운, 곧 바르고 당당하며 굽힘 없는 정신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호연지기(浩然之氣)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호연지기 뜻浩(넓을 호): 넓다, 크다然(그러할 연): 그러하다之(~의 지): ~의氣(기운 기): 기운, 에너지'호연지기(浩然之氣)'는 하늘과 땅 사이를 가득 채운 크고 맑은 기운, 즉 정의롭고 굽힘 없는 도덕적 정신을 뜻합니다. 호연지기는 타인의 시선이나 외압에 흔들리지 않고, 떳떳하게 바른 길을 걷는 사람의 품성과 자세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유래호연지기(浩然之氣)는 맹자(孟子) 공손추 상편(公孫丑 上篇)에서 유래하였습니다.맹자는 “나는 호연지기를 기른다”라고 하며, 그 기운은 하늘과..
호가호위(狐假虎威)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호가호위(狐假虎威)는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다른 짐승들을 속인다는 뜻으로, 실력도 없으면서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리는 사람을 비판할 때 쓰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호가호위(狐假虎威)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호가호위 뜻狐(여우 호): 여우假(빌릴 가): 빌리다, 의지하다虎(호랑이 호): 호랑이威(위엄 위): 위세, 권위'호가호위(狐假虎威)'는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린다는 의미로, 실질적인 힘이 없으면서 남의 권력이나 지위를 빌려 거들먹거리는 모습을 가리킵니다.호가호위는 사회생활이나 조직 내에서 권력자 옆에 붙어 그 권세를 자신의 것인 양 행사하는 사람을 풍자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유래호가호위(狐假虎威)는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에 나오는 고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