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90

풍전등화(風前燈火)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풍전등화(風前燈火)는 바람 앞의 등불처럼 매우 위태로운 상황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풍전등화(風前燈火)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풍전등화 뜻風(바람 풍): 바람前(앞 전): 앞燈(등불 등): 등불火(불 화): 불'풍전등화(風前燈火)'는 바람 앞의 등불처럼 꺼질 듯 꺼지지 않을 듯 위태로운 상황을 의미합니다. 살얼음판을 걷는 듯한 아슬아슬한 상태, 생명이나 상황이 매우 위태롭고 불안정한 상태를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풍전등화(風前燈火)는 삼국지(三國志) 촉서(蜀書) 제갈량전(諸葛亮傳)에서 유래하였습니다.제갈량이 위나라의 침공 앞에서 촉한의 상황을 "풍전등화", 즉 바람 앞의 등불과 같이 위태롭다고 묘사한 것이 기원입니다. 후대에 이 표현은 정치적..
풍수지탄(風樹之歎) vs 풍수지탄(風樹之嘆)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풍수지탄(風樹之歎)과 풍수지탄(風樹之嘆)은 발음은 같지만, 한자의 뜻과 유래가 조금 다릅니다. 오늘은 이 두 사자성어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를 명확히 구분하여 정리하겠습니다. 풍수지탄 뜻풍수지탄(風樹之歎)風(바람 풍): 바람樹(나무 수): 나무之(~의 지): ~의歎(탄식할 탄): 탄식하다, 한탄하다'풍수지탄(風樹之歎)'은 효도하려고 했으나 이미 부모가 돌아가시거나 기회를 잃어 효도하지 못하게 된 슬픔을 한탄함을 의미합니다. 부모님이 계실 때 효도하지 못한 것을 후회하고 탄식하는 감정을 담고 있습니다. 풍수지탄(風樹之嘆)風(바람 풍): 바람樹(나무 수): 나무之(~의 지): ~의嘆(탄식할 탄): 한숨 쉬다, 한탄하다'풍수지탄(風樹之嘆)'은 효도하려 할 때 이미 부모님이 돌아가 효도를 할 수..
포기(暴棄)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포기(暴棄)는 소중한 것 또는 자신에게 이로운 것을 마구 버린다는 의미의 한자어입니다. 오늘은 포기(暴棄)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포기 뜻暴(사나울 포): 함부로, 난폭하게棄(버릴 기): 버리다, 내던지다'포기(暴棄)'는 자신의 노력, 의지, 소중한 기회 등을 난폭하게 버리거나 단념한다는 의미입니다. 자기 자신에게 이로울 수 있는 상황이나 기회를 소홀히 여기고 가볍게 버린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됩니다. 유래포기(暴棄)는 한서(漢書) 동중서전(董仲舒傳)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동중서는 사람은 때로 자신의 가능성을 너무 쉽게 단념하거나, 중요한 가치를 내던지는 어리석음을 경계하였습니다."마음을 포기하여 스스로를 해치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暴棄其心 自害其身)"라는 문장..
포복절도(抱腹絶倒)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포복절도(抱腹絶倒)는 배를 움켜쥐고 넘어질 정도로 크게 웃는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포복절도(抱腹絶倒)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포복절도 뜻抱(안을 포): 안다, 움켜쥐다腹(배 복): 배絶(끊을 절): 끊다, 자지러지다倒(넘어질 도): 넘어지다'포복절도(抱腹絶倒)'는 배를 움켜쥐고 넘어질 정도로 자지러지게 웃다는 의미입니다.너무 우스워서 배를 안고 몸을 가누지 못할 정도로 웃는 모습을 표현합니다. 현대에서도 매우 우스운 상황이나 농담 등에 대해 비유적으로 사용합니다. 유래포복절도(抱腹絶倒)는 장자(莊子) 잡편(雜篇)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장자에서는 무위자연의 경지를 논하면서 인간의 고정관념을 뛰어넘는 자유로운 사고와 유쾌함을 강조하였으며, 그 속에서 '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