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64

대역부도(大逆不道)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대역부도(大逆不道)는 인간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저버리고 용서받지 못할 죄를 저지르는 행위를 일컫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역부도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대역부도 뜻대역부도(大逆不道)는 사회나 국가의 기본적인 윤리와 법도를 거스르는 극악무도한 죄악을 뜻합니다. 주로 대역부도는 군주에 대한 반역, 부모나 윗사람에 대한 극심한 불효 등 인간의 도리를 완전히 저버린 행위에 사용됩니다.大(클 대): 크다, 중대하다逆(거스를 역): 거역하다, 반역하다不(아닐 불): 아니다, 부정道(길 도): 도리, 도덕, 법도즉, 대역부도는 ‘크게 거슬러 도리에 어긋난다’는 뜻으로, 도저히 용서받을 수 없는 반도덕적 행위나 국가 질서를 파괴하는 중대한 범죄를 표현할 때..
당구풍월(堂狗風月)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당구풍월(堂狗風月)은 늘 곁에 있다 보면 자연스레 배우게 된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당구풍월의 뜻, 유래, 예문부터 당구풍월의 반대말, 유의어까지 하나하나 알아보겠습니다. 당구풍월 뜻당구풍월(堂狗風月)은 글방에 기거하는 개조차 시문을 읊는다는 말로, 어떤 환경에 오래 노출되면 특별한 의도 없이도 자연스럽게 배우게 된다는 뜻입니다.堂(집 당): 집, 서당狗(개 구): 개風(바람 풍): 시문(詩文)에서의 풍류月(달 월): 달, 역시 시문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재즉, 당구풍월은 서당의 개도 시와 달 이야기를 읊는다는 말처럼, 환경의 영향력이 얼마나 큰지를 강조할 때 사용되는 사자성어입니다. 유래‘당구풍월’은 조선 시대 서당이나 글방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학생들이 매일 시문을 암송하고 글을 읽는..
단금지교(斷金之交)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단금지교(斷金之交)는 쇠도 끊을 만큼 굳건하고 깊은 우정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단금지교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단금지교 뜻단금지교(斷金之交)는 친구 간의 우정이 매우 두터워서 쇠조차 끊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즉, 단금지교는 어떤 시련이나 어려움에도 끊어지지 않는 굳건한 우정을 상징합니다.斷(끊을 단): 끊다金(쇠 금): 쇠, 금속之(갈 지): ~의交(사귈 교): 사귐, 우정이처럼 단금지교는 금속조차 자를 수 있을 만큼 단단하고 굳은 우정을 표현하며, 오랜 시간 동안 진실하고 신뢰 깊은 친구 사이를 뜻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단금지교’는 중국 춘추시대 위나라의 공자(孔子)의 제자 중 자공(子貢)과 단목(端木)이 맺은 우정에서 비롯된 이야기입..
단기지계(斷機之戒)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단기지계(斷機之戒)는 학문을 중도에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정진하라는 교훈을 담은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단기지계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단기지계 뜻단기지계(斷機之戒)는 직조를 하다 베틀의 실을 끊듯, 학문을 중단하는 것은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경계의 뜻입니다. 즉, 단기지계는 공부를 도중에 그만두는 것은 모든 노력이 헛수고가 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斷(끊을 단): 끊다機(베틀 기): 베틀, 직기之(갈 지): ~의戒(경계할 계): 경계, 훈계이처럼 ‘단기지계’는 학문을 포기하지 말고 꾸준히 정진해야 함을 강조하는 교육적 훈계성 사자성어로 널리 사용됩니다. 유래‘단기지계’는 중국 **맹자의 어머니, 맹모(孟母)**의 교육 일화에서 유래하였습니다.《열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