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64

문일지십(聞一知十)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문일지십(聞一知十)'은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는 뜻으로, 매우 총명하고 이해력이 뛰어난 사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문일지십(聞一知十)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문일지십 뜻'문일지십(聞一知十)'은 '하나를 들으면(聞一) 열을 안다(知十)', 즉 작은 정보 하나만 들어도 그 배경과 전체 맥락까지 넓게 이해할 수 있는 높은 지적 능력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聞(들을 문): 듣다一(한 일): 하나知(알 지): 알다十(열 십): 열문일지십은 주로 뛰어난 두뇌 회전, 탁월한 이해력, 지혜로운 인물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문일지십은 『논어(論語) · 술이편(述而篇)』에서 유래했습니다. 공자가 제자 안연(顔淵)을 칭찬하며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회야는 일..
모수자천(毛遂自薦)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모수자천(毛遂自薦)'은 자신의 능력을 믿고 스스로를 추천한다는 뜻으로, 적극적으로 기회를 잡는 태도를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모수자천(毛遂自薦)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수자천 뜻'모수자천(毛遂自薦)'은 '모수(毛遂)가 스스로를(自) 추천했다(薦)'는 말로, 자기 능력을 믿고 자신을 앞장 세워 어떤 일에 나서겠다고 자청하는 행동을 의미합니다.毛(털 모): 인명 毛遂(모수)遂(이를 수): 성씨의 일부, 사람 이름自(스스로 자): 스스로薦(천거할 천): 추천하다, 천거하다오늘날에 모수자천은 스스로를 추천하거나 어떤 일에 지원하는 행동, 또는 주저하지 않고 자신을 내세우는 적극적인 태도를 비유할 때 자주 쓰입니다. 유래모수자천은 『사기(史記) · 평원군열..
망운지정(望雲之情)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망운지정(望雲之情)'은 구름을 바라보며 부모를 그리워하는 자식의 애틋한 마음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망운지정(望雲之情)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망운지정 뜻'망운지정(望雲之情)'은 '구름을 바라보며(望雲) 느끼는 자식의 정(之情)', 즉 멀리 떨어져 있는 부모를 그리워하며 구름을 통해 마음을 전하고자 하는 자식의 애틋한 효심을 뜻합니다.望(바랄 망): 바라보다雲(구름 운): 구름之(갈 지): ~의情(정 정): 마음, 감정망운지정은 특히 객지에 나와 있는 자식이 부모를 그리워할 때, 또는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이 사무칠 때 사용하는 정서적인 사자성어입니다. 유래망운지정은 중국 후한 시대 마잠(馬儉)이라는 인물이 쓴 글에서 유래합니다.마잠은 벼슬길에 올라..
만수무강(萬壽無疆)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만수무강(萬壽無疆)'은 아주 오래도록 건강하고 장수하길 바란다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주로 어르신 생신, 부모님의 건강을 기원할 때 축복의 말로 사용되며,이번 글에서는 만수무강(萬壽無疆)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만수무강 뜻'만수무강(萬壽無疆)'은 '일만(萬)의 수명(壽)을 누리며, 끝이 없다(無疆)', 즉 한없이 오래오래 살며 건강이 끊이지 않기를 바란다는 의미입니다.萬(일만 만): 수많음, 아주 많음壽(목숨 수): 장수, 수명無(없을 무): 없음疆(지경 강): 경계, 끝만수무강강은 장수를 기원하는 최고의 덕담으로, 생신, 경사, 명절 등에 많이 쓰이며 '건강하게 오래오래 사세요'의 한자어 표현입니다. 유래만수무강은 중국 고대 제왕이나 장수한 인물에게 장수를 축원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