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가홍상(同價紅裳)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동가홍상(同價紅裳)'은 값이 같다면 붉은 치마를 택한다는 뜻으로, 같은 조건이라면 보기 좋고 더 나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동가홍상(同價紅裳)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가홍상 뜻'동가홍상(同價紅裳)'은 '같은 값이면 붉은 치마를 고른다', 즉 조건이 같다면 외형이 더 아름답거나 마음에 드는 것을 택하는 것이 사람의 자연스러운 심리라는 의미입니다.同(같을 동): 같다價(값 가): 가격紅(붉을 홍): 붉다裳(치마 상): 치마동가홍상상은 질, 효용이 동일하다면 외형이 더 아름답거나 보기 좋은 것을 선호하는 심리를 표현할 때 주로 쓰이며, 소비자 선택이나 대중 심리, 미적 판단 등 여러 분야에서 응용됩니다. 유래동가홍상은 『후한..
도탄지고(塗炭之苦)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도탄지고(塗炭之苦)'는 진흙과 숯불 속에 빠진 듯한 고통이라는 뜻으로, 백성들이 처절하게 고통받는 참혹한 현실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도탄지고(塗炭之苦)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도탄지고 뜻'도탄지고(塗炭之苦)'는 '진흙탕(塗)과 숯불(炭)에 빠진 고통(之苦)', 즉 백성이나 약자가 극심한 고난과 억압에 시달리는 상태를 의미합니다.塗(진흙 도): 진흙, 진창炭(숯 탄): 숯불, 불길之(갈 지): ~의苦(괴로울 고): 고통, 괴로움도탄지고는 정치적 부패, 전쟁, 가혹한 수탈 등으로 인한 민중의 비참한 처지를 상징하며, 주로 국가의 부정과 무능이 초래한 참상을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도탄지고는 『서경(書經)』과 『한서(漢書)』, 『맹자(孟子)』 등 고..
대의멸친(大義滅親)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대의멸친(大義滅親)'은 큰 정의를 위해 사사로운 친분이나 혈연조차 버린다는 뜻으로, 공정함을 지키기 위해 사적 관계를 희생하는 결단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대의멸친(大義滅親)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의멸친 뜻'대의멸친(大義滅親)'은 '큰 정의(大義)를 위해 부모나 친족(親)을 멸한다(滅)', 즉 공적인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사적인 정이나 혈연을 희생한다는 의미입니다.大(큰 대): 크다義(옳을 의): 정의, 공의滅(멸할 멸): 없애다, 버리다親(친할 친): 친척, 혈연대의멸친은 공사 구분이 철저하고 정의를 최우선 가치로 여기는 결단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대의멸친은 『좌전(左傳) · 희공 5년 편(僖公五年篇)』에 등장하는 고사에서 유래합니다.춘..
대동단결(大同團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대동단결(大同團結)'은 각기 다른 입장이나 세력이 하나의 큰 뜻 아래 힘을 합쳐 뭉친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동단결(大同團結)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동단결 뜻'대동단결(大同團結)'은 '큰 뜻(大同) 아래에서 모두가 하나로 뭉친다(團結)', 즉 사상이나 이념, 이익이 다르더라도 공동의 목적을 위해 단합함을 뜻합니다.大(클 대): 크다同(같을 동): 같다, 함께하다團(둥글 단): 단체, 무리結(맺을 결): 묶다, 뭉치다대동단결은 국가적 위기, 사회적 혼란, 조직 내 분열 등을 극복하기 위한 단합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대동단결은 고대의 고사성어나 『사기』『논어』 등의 전통 경전에서 유래된 사자성어는 아니며, 근현대에 정치·사회적 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