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등을 돌린 상황, 도움은 없고, 책임만 무겁게 지워진 자리, 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홀로 버텨야 할 때 우리는 고군분투라는 말을 떠올리게 됩니다.
오늘날 개인의 삶, 직장, 학교, 사회 곳곳에서 혼자 고독하게 싸우는 수많은 이들의 현실을 대변하는 말, 바로 '고군분투(孤軍奮鬪)'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군분투의 정확한 뜻과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소개하겠습니다.
고군분투 뜻
'고군분투(孤軍奮鬪)'는 '외로운 군대가 힘을 다해 싸운다'는 뜻으로, 혼자 힘으로 고난과 맞서며 치열하게 싸우는 상황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 孤(외로울 고): 고립된
- 軍(군사 군): 군대
- 奮(떨칠 분): 힘을 냄
- 鬪(싸울 투): 싸우다
즉, 고군분투는 도움도, 지원도 없이 혼자서 악조건을 이겨내며 싸워나가는 모습을 뜻합니다. 고군분투는 종종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고군분투, 직장 내 고독한 리더십, 외로운 도전자 등을 상징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
고군분투는 전쟁 용어에서 유래된 사자성어입니다. 고대 중국의 전쟁사에서, 아군의 지원 없이 적진 한복판에 고립된 병사들이 끝까지 싸워 살아남은 상황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죠.
역사적으로는 고군분투는 삼국지나 사기 등에서도 적의 포위망에 갇힌 채 외롭게 전투를 이어간 장수나 부대의 모습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집니다.
이후 현대에 들어서며 고립된 상황에서 개인이 모든 부담을 지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표현하는 데 고군분투는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예문
고군분투는 혼자 힘으로 버티며 성과를 만들어가는 상황, 아무도 도와주지 않는 외로운 환경 속에서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모습을 표현할 때 자연스럽게 사용됩니다.
- 그는 지원도 없이 혼자서 모든 프로젝트를 완수했다. 완전한 고군분투의 결과였다.
- 가족도 친구도 모르는 그의 사정은, 진정한 고군분투의 연속이었다.
- 스타트업 대표로서 하루하루 고군분투 하며 회사를 키워낸 과정은 감동 그 자체였다.
- 육아와 직장을 병행하는 워킹맘들의 삶은 그 자체로 고군분투다.
- 사회 초년생으로서의 첫 1년은 정말 말 그대로 고군분투의 기록이었다.
고군분투 반대말
고군분투의 반대 개념은 협력, 연대, 동료와의 시너지입니다. 같이 싸우고, 서로 도우며 성과를 만들어내는 상황이 이에 해당합니다. 대표적인 반대말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상부상조(相扶相助) – 서로 도우며 함께 어려움을 극복함
- 풍우동주(風雨同舟) – 고난을 함께 겪는 동지
- 협력공조(協力共助) – 힘을 합쳐 일함
- 동심협력(同心協力) – 마음과 힘을 하나로 모아 함께 나아감
- 군자지교(君子之交) – 서로 존중하며 도우는 관계
이러한 표현들은 고립되지 않고, 서로를 지탱해 주는 건강한 조직문화와 공동체 의식을 강조할 때 유용합니다.
고군분투 유의어
고군분투와 의미가 통하는 유의어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진퇴양난(進退兩難) – 어떤 선택을 해도 어려움이 따르는 상황
- 사면초가(四面楚歌) – 외부의 도움 없이 포위된 상태
- 고립무원(孤立無援) – 도와주는 사람 없이 고립된 상태
- 절체절명(絶體絶命) – 목숨이 달린 절박한 위기
- 백절불굴(百折不屈) – 백 번 꺾여도 굽히지 않음
이들은 모두 고난을 스스로 이겨내야 하는 상황에서 개인의 인내와 투지를 강조할 때 함께 사용됩니다.
끝맺음
고군분투 안에는 누구도 대신해줄 수 없는 인생의 무게를 감당해 내는 사람의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진짜 강한 사람은 외롭다고 멈추지 않고, 고군분투의 과정을 통해 자신을 단단히 다지는 사람입니다. 혼자일지라도 포기하지 않는 그 마음, 고군분투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입니다.
👇 관련 글 모음
고립무원(孤立無援)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지상정(人之常情)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9 |
---|---|
결자해지(結者解之)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9 |
견토지쟁(犬兎之爭)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8 |
고복격양(鼓腹擊壤)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1) | 2025.04.28 |
고립무원(孤立無援)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