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민동락(與民同樂)은 백성과 함께 즐긴다는 뜻으로, 지도자나 권력자가 혼자 호사하지 않고, 백성과 기쁨과 즐거움을 함께 나누어야 한다는 통치 이념을 강조한 사자성어입니다.
국민과 고락을 함께하는 올바른 정치의 태도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여민동락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여민동락 뜻
여민동락(與民同樂)은 백성과 함께 즐기다는 의미로, 지도자나 위에 선 사람이 국민과 고통과 즐거움을 함께 나누며, 백성의 기쁨이 곧 자신의 기쁨이라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與(더불 여): 함께
- 民(백성 민): 백성
- 同(같을 동): 함께
- 樂(즐길 락): 즐기다
즉, 여민동락은 리더가 백성과 함께 행복을 추구하고, 혼자만의 즐거움을 추구하지 말아야 함을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유래
‘여민동락’은 중국 고전 《예기(禮記)》 '악기 편(樂記篇)'에서 유래하였습니다.
공자는 "진정한 군자는 백성과 함께 즐거움을 나누고, 자신만의 호사를 삼가야 한다. 백성의 기쁨을 함께하지 않는 것은 지도자의 도리가 아니다."고 하였습니다.
여민동락은 올바른 정치, 청렴한 지도자상을 상징하는 표현으로 널리 인용됩니다.
예문
여민동락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도자는 여민동락의 정신으로 국민과 아픔과 즐거움을 함께해야 한다.
- 대통령은 취임식에서 여민동락의 정치를 약속했다.
- 기업가도 직원과 여민동락하는 마음으로 경영해야 한다.
여민동락 반대말
여민동락과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제군주(專制君主): 절대 권력을 쥐고 백성과는 괴리된 통치를 한다는 뜻으로, 여민동락과 달리 백성과 고립된 독선적인 정치 형태를 의미합니다.
- 호사자처(好事自處): 좋은 일은 스스로만 누린다는 뜻으로, 여민동락처럼 백성과 즐거움을 나누는 것과 반대로 혼자만 즐기고 백성은 외면하는 태도를 비판합니다.
여민동락 유의어
여민동락과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여민해락(與民偕樂): 백성과 함께 즐거움을 누린다는 뜻으로, 여민동락과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 동고동락(同苦同樂): 고통도 즐거움도 함께 나눈다는 뜻으로, 여민동락처럼 리더가 백성과 고락을 함께하는 태도를 강조합니다.
- 군자무쾌락(君子無快樂): 군자는 개인적인 쾌락을 삼간다는 뜻으로, 여민동락처럼 지도자가 사사로운 즐거움을 경계하고 백성과 함께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끝맺음
여민동락(與民同樂)은 국가와 사회의 리더가 백성과 함께 고통과 기쁨을 나누는 진정한 통치자의 덕목을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날에도 리더십, 정치, 경영 등 모든 분야에서 여민동락의 태도가 진정한 존경과 신뢰를 얻는 길임을 이 사자성어는 일깨워줍니다.
👇 관련 글 모음
동빙한설(凍氷寒雪)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조삭비(如鳥數飛)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5 |
---|---|
여출일구(如出一口)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5 |
여민해락(與民偕樂)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5 |
여리박빙(如履薄氷)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5 |
여도지죄(餘桃之罪)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