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여민해락(與民偕樂)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여민해락(與民偕樂)은 백성과 함께 즐긴다는 뜻으로, 지도자가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백성과 기쁨과 즐거움을 함께 나누는 올바른 정치의 자세를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백성과 고락을 함께 한다는 뜻으로도 확장되어 사용됩니다.

 

여민해락


이번 글에서는 여민해락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여민해락 뜻

여민해락(與民偕樂)은 백성과 함께 즐거움을 나눈다는 의미로, 통치자나 지도자가 사사로운 즐거움이 아니라 국민과 공동체 구성원과 함께 즐거움을 나누고 행복을 함께 추구해야 한다는 정치적 윤리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 與(더불 여): 함께
  • 民(백성 민): 백성
  • 偕(함께 해): 함께
  • 樂(즐거울 락): 즐겁다

즉, 백성과 더불어 즐거움을 나누고 고락을 같이 한다는 올바른 리더십의 태도를 강조하는 말입니다.

 

유래

‘여민해락’은 중국 고전 《서경(書經)》 '요전(堯典)'에서 유래하였습니다.
고대 성군 요임금이 "백성과 함께 즐겁지 않으면 어찌 홀로 즐거움을 누릴 수 있겠는가."라고 말한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현대에도 공동체의 지도자, 기업의 리더, 조직의 수장들이 자신만의 이익이나 즐거움을 추구하지 않고 공동체와 함께 번영과 기쁨을 나눌 때 쓰이는 교훈적 표현입니다.

 

예문

여민해락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참된 지도자는 여민해락의 정신으로 국민과 기쁨을 나눠야 한다.
  • 기업 경영자라면 여민해락의 자세로 구성원들과 이익과 행복을 함께 나눠야 한다.
  • 여민해락을 실천하는 지도자가 많은 사회는 반드시 번영한다.

여민해락여민해락

 

여민해락 반대말

여민해락과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독락독향(獨樂獨享): 혼자 즐기고 혼자 누린다는 뜻으로, 여민해락과 반대로 지도자나 권력자가 사사로이 즐거움을 독차지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사리사욕(私利私慾): 개인의 이익과 욕심만을 추구한다는 뜻으로, 여민해락과 반대로 공동체를 외면하고 자기만의 욕심을 채우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여민해락 유의어

여민해락과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여민동락(與民同樂): 백성과 함께 즐거움을 나눈다는 뜻으로, 여민해락과 같은 의미로 자주 혼용됩니다.
  • 군자락지(君子樂之): 군자는 백성이 즐거워하는 것을 함께 즐거워한다, 여민해락처럼 군자의 올바른 덕목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끝맺음

여민해락(與民偕樂)은 지도자나 리더가 사사로운 즐거움이 아니라 백성과 더불어 함께 즐거움을 나누고 고락을 같이하는 리더십의 본질을 일깨워주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날에도 여민해락의 정신으로 국민과 소통하고, 함께 행복을 추구하는 겸손하고 존경받는 리더십이 필요합니다.

 

 

👇 관련 글 모음
대역부도(大逆不道) ⭐

독불장군(獨不將軍) ⭐

동빙한설(凍氷寒雪) ⭐

만경창파(萬頃蒼波)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