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하고질(煙霞痼疾)은 안개와 노을을 앓는 지병처럼 여긴다는 뜻으로, 자연 풍경을 너무나도 사랑해 마치 고질병처럼 떠나지 못하는 마음을 비유한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연하고질(煙霞痼疾)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하고질 뜻
- 煙(연기 연): 안개, 구름, 연기
- 霞(노을 하): 아침·저녁노을
- 痼(고질 고): 고질적인, 오래된 병
- 疾(병 질): 병, 집착
'연하고질(煙霞痼疾)'은 자연 풍경에 대한 애착이 마치 고치기 힘든 병처럼 깊고 강하다는 의미로, 특히, 속세를 떠나 자연 속에서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지극한 자연 예찬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유래
연하고질(煙霞痼疾)은 중국 당나라 시인들이 자연의 아름다움을 찬미하며 사용한 표현에서 유래한 것으로, 특정 고사에 근거한 표현은 아니지만, 이후 속세의 명리보다는 자연과 풍류를 즐기며 은거하는 삶을 지향하는 문인들 사이에서 널리 쓰였습니다.
대표적으로 조선 중기의 문인 이식(李植)은 "연하고질은 옛 선비들의 질병이라" 말하며, 이를 지속적으로 자연을 벗 삼아 사는 삶의 미덕으로 보았습니다.
예문
연하고질(煙霞痼疾)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속세를 떠나 산중에 머무는 그의 삶은 연하고질의 진수를 보여준다.
- 매일 아침 일찍 일어나 산을 오르는 건 그에게 있어 연하고질의 증상처럼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 그림을 그릴 때마다 산천을 소재로 삼는 걸 보면, 그는 분명 연하고질에 걸린 사람이다.
이처럼 연하고질은 자연에 대한 깊은 애정과 동경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연하고질 비슷한 사자성어
- 천석고황(泉石膏肓): 샘과 바위에 대한 사랑이 고치기 어려운 병처럼 깊음
- 연하지벽(煙霞之癖): 노을과 안개를 좋아하는 습벽, 자연 예찬
- 성벽(性癖): 타고난 성향, 자연을 향한 집착적 애정
천석고황은 자연 속에서 사는 삶이 체질적으로 맞는 사람의 애착을 뜻하며, 연하고질과 가장 가까운 유의어입니다.
연하지벽은 글자 그대로 연하고질과 같은 의미를 지니며, 표현 방식만 다릅니다.
성벽은 특정한 기호나 습관을 뜻하는 일반적인 표현이지만, 자연을 향한 강한 기호일 때 연하고질의 유의어로 사용됩니다.
끝맺음
연하고질(煙霞痼疾)은 단순한 자연 예찬을 넘어, 속세의 욕망에서 벗어나 자연과 벗하며 사는 삶을 이상으로 삼는 정신을 담고 있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날처럼 분주하고 복잡한 현대 사회 속에서 연하고질의 의미는 더욱 깊은 울림을 주며, 휴식과 회복의 가치를 일깨워줍니다.
👇 관련 글 모음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후송산(雨後送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5.20 |
---|---|
요순시대(堯舜時代)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0 |
여진여퇴(如嗔如退)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0 |
심심상인(心心相印)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0 |
불구대천지수(不俱戴天之讐)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