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공중누각(空中樓閣)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누구나 거창한 계획을 세우고, 큰 꿈을 꿉니다. 하지만, 튼튼한 기반 없이 세운 계획과 꿈은 마치 허공에 떠 있는 성처럼 덧없이 무너지고 말죠. 이런 상황을 상징하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바로 '공중누각(空中樓閣)'입니다.

 

썸네일

 

오늘은 공중누각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말씀드리겠습니다.

 

공중누각 뜻

'공중누각(空中樓閣)'은 '공중에 떠 있는 누각'이라는 뜻입니다.

  • 空(빌 공)
  • 中(가운데 중)
  • 樓(다락 루)
  • 閣(누각 각)

즉, 공중누각은 아무런 근거나 토대가 없는 사물이나 생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현실적인 기반이나 논리적 근거 없이 세워진 계획, 공상, 주장을 공중누각이라고 표현합니다.

겉으로 보기엔 거창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실현 가능성이 전혀 없는 상태를 지적하는 말입니다.

 

유래

공중누각은 중국 고대 문헌에서 유래한 사자성어입니다. 『장자(莊子)』 같은 철학서에서 근거 없는 생각이나, 현실성이 결여된 이상을 조심하라는 가르침과 함께 "공중에 누각을 세우는 것과 같다"는 비유가 등장합니다.

또한, 『한서(漢書)』 등에서도 기반이 없는 계획은 허망할 뿐이라는 교훈을 전하면서 공중누각이라는 표현을 널리 사용했습니다. 이처럼 공중누각은 실질적 준비와 기반 없이 세운 이상이나 계획은 허망하게 무너질 수밖에 없다는 진리를 담고 있습니다.

 

예문

공중누각은 현실적 기반이나 구체적 실행 계획 없이 세워진 허황된 기대나 생각을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 준비도 없이 창업을 한다는 것은 완전한 공중누각에 불과하다.
  • 근거 없는 소문은 결국 공중누각처럼 사라지고 말았다.
  • 철저한 준비 없이 세운 정책은 공중누각이 되어버렸다.
  • 계획은 거창했지만 실행 방안이 없어 결국 공중누각으로 끝났다.
  • 희망사항만 가득한 사업계획서는 그저 공중누각일 뿐이다.

한자한자

 

공중누각 반대말

공중누각의 반대 개념은 튼튼한 토대 위에 세운 실현 가능한 목표나 계획입니다. 대표적인 반대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토대구축(土臺構築) – 튼튼한 기반을 마련함
  • 근본중시(根本重視) – 기초를 중시하고 단단히 다짐
  • 입각지실(立脚之實) – 확실한 근거 위에 서다
  • 확고부동(確固不動) – 단단하고 흔들림이 없음
  • 실사구시(實事求是) – 사실에 근거해 진리를 추구함

이러한 표현들은 현실성 있고 실현 가능한 계획이나 꿈을 세우는 자세를 강조합니다.

 

공중누각 유의어

공중누각과 뜻이 통하는 유의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허장성세(虛張聲勢) – 실속 없이 허세만 부리는 것
  • 무중생유(無中生有) – 없는 것을 있다고 꾸며냄

 

끝맺음

공중누각은 단순히 허황된 꿈을 비판하는 말이 아닙니다. 그것은 현실적 준비와 철저한 계획 없이 세운 모든 것은 무너질 수밖에 없다는 냉정한 경고입니다.

"하늘에 성을 쌓을 수는 없다. 땅에 기초를 다져야 비로소 꿈이 이루어진다." 거창한 목표보다, 튼튼한 기반을 하나하나 쌓아가는 지혜가 성공의 진정한 비결입니다.

 

👇 관련 글 모음
골육상쟁(骨肉相爭) ⭐

공도동망(共倒同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