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시간 동안 노력해온 일, 거의 끝이 보였는데 마지막 한 걸음을 남기고 포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모든 노력은 결국 아무 소용이 없게 되어버리죠. 이러한 상황을 딱 네 글자로 표현한 말이 있습니다. 바로 '공휴일궤(功虧一簣)'입니다.
오늘은 공휴일궤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풀어보겠습니다.
공휴일궤 뜻
'공휴일궤(功虧一簣)'는 '산을 쌓는 데 한 삼태기의 흙을 게을리하여 완성을 보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 功(공 공): 공로, 노력
- 虧(이지러질 휴): 부족하다, 실패하다
- 一(한 일): 하나
- 簣(삼태기 궤): 흙을 나르는 도구
즉, 공휴일궤는 오랫동안 쌓아온 노력이 마지막 한 걸음을 완수하지 못해 수포로 돌아가는 상황을 뜻합니다. 거의 다 이룬 일을 끝내지 못해 오랜 노력이 헛수고가 되는 비극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유래
공휴일궤는 『순자(荀子)』 권학편(勸學篇)에서 유래한 고사성어입니다. 순자는 "산을 쌓을 때, 삼태기로 수없이 흙을 나르다가
마지막 한 삼태기를 옮기지 않으면 그 산은 완성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이 일화를 통해, 끝까지 완성하지 않으면 지금까지의 모든 노력이 허사가 된다는 사실을 강조했습니다. 공휴일궤는 끝까지 인내하고 마무리 짓는 것의 중요성을 강력하게 경고하는 말입니다.
예문
공휴일궤는 마지막 순간에 실패함으로써 모든 수고가 헛되게 되는 안타까운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 졸업을 코앞에 두고 자퇴하는 것은 명백한 공휴일궤다.
- 오랜 프로젝트가 마지막 승인을 앞두고 중단되었다. 정말 아쉬운 공휴일궤였다.
- 한 시즌 동안 선두를 달리던 팀이 마지막 경기에서 무너지며 공휴일궤의 아픔을 맛보았다.
- 취업 준비를 다 해놓고 시험을 포기한다면 그야말로 공휴일궤인 셈이다.
- 비즈니스 협상을 거의 마무리했지만, 마지막 조율을 실패해 공휴일궤를 맞이했다.
공휴일궤 반대말
공휴일궤의 반대 개념은 끝까지 노력하고 마무리까지 완벽하게 해내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반대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유종지미(有終之美) – 일을 끝까지 잘 마무리하여 아름답게 끝냄
- 수성지공(守成之功) – 이미 세운 업적을 잘 지키고 완성함
- 필승완수(必勝完遂) – 반드시 이겨내고 완수함
이러한 표현들은 포기하지 않고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목표를 이루는 자세를 강조합니다.
공휴일궤 유의어
공휴일궤와 뜻이 통하는 유의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십시일반(十匙一飯) – 여러 사람이 힘을 모아야 비로소 큰일을 이룰 수 있다
- 화룡점정(畵龍點睛) – 마지막 마무리가 일을 완성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 작심삼일(作心三日) – 결심을 오래 유지하지 못하고 포기하는 것
- 대기만성(大器晩成) – 큰 성공은 시간이 걸려야 완성된다
- 필사즉생(必死卽生) – 죽을 각오로 임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
특히, 화룡점정은 공휴일궤의 반대 맥락에서, 마지막 완성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끝맺음
공휴일궤는 단순한 실패가 아니라, 오랜 시간 쌓아온 노력의 헛됨을 의미합니다. "99도까지 끓인 물은 마지막 1도를 올려야 비로소 끓는다." 마지막 순간까지 최선을 다해, 끝까지 완주하는 자세를 갖는다면 우리는 비로소 진정한 성취를 이룰 수 있습니다.
👇 관련 글 모음
공도동망(共倒同亡)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유불급(過猶不及)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30 |
---|---|
과공비례(過恭非禮)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30 |
공중누각(空中樓閣)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30 |
공도동망(共倒同亡)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30 |
골육상쟁(骨肉相爭)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30 |